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12

과잉생산(過剩生産) 오늘의 사자성어는 ‘과잉생산(過剩生産)’이다.『사회의 구매력과 소비력을 생각하지 아니하고 지나치게 많은 물품을 생산하는 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過 지날 과[지나다, 초월하다, 낫다, 빠져나가다]剩 남을 일[남다, 그 위에, 더군다나]生 날    생[나다, 태어나다, 천생으로, 낳다]産 낳을 산[낳다, 태어나다, 만들어내다]  머니투데이의 우경희 기자가 『"과잉생산? 중국 발전 막으려는 미국이 만든 말" 대응수위 높이는 中』이라는 기사에서 사자성어 ‘과잉생산’을 사용했다.   과잉생산이 나와 있는 내용을 잠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미국 등 서방이 중국 전기차와 태양광 등 과잉생산 및 수출에 따른 이른바 '차이나 쇼크'를 우려하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관영언론을 통해 적극적인 반박에 나서고 있다... 2024. 4. 29.
건널목의 유령 다카노 가주아키 지음, 박춘상 옮김의 『건널목의 유령』은 출판사 황금가지에서 2023년 7월 14일 출판한 장편소설이다. 다카노 가주아키는 1964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영화감독을 지망하여 독립영화를 제작하고는 하였으며, 고등학교 시절 2학년 때부터 쓰기 시작하여 대학 재수 시절 완성한 각본이 일본 영화 제작자 연맹에서 주관하는 기도상 최종 후보에 오른 인연으로 영화감독 오카모토 기하치의 문하에 들어갔다.『건널목의 유령』은 심령사진을 단서로 살인사건까지 스토리 구성력이 긴장감을 유발하는 미스터리 소설로서 총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롤로그 7 1장 242장 473장 744장 1035장 1226장 1567장 2108장 2309장 25410장 28111장 29612장 30213장 338 .. 2024. 4. 26.
기암괴석(奇巖怪石) 오늘의 사자성어는 ‘기암괴석(奇巖怪石)’이다.『기이하고 괴상하게 생긴 암석』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奇 기이할 기[기이하다, 뛰어나다, 갑자기]巖 바위     암[바위, 가파르다, 험하다, 낭떠러지]怪 기이할 괴[기이하다, 의심하다, 도깨비]石 돌        석[돌, 돌로 만든 악기, 비석]  국민일보의 남호철 기자가 『코끼리·사자·얼굴·토끼… ‘신이 조각한’ 기암괴석』이라는 기사에서 사자성어 ‘기암괴석’을 사용했다.   기암괴석이 나와 있는 내용을 잠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영산도 동남쪽 등 암석해안에 해식애가 발달해 있다. 선상에서 보는 기묘한 형상의 바위는 신이 만든 조각품 같다. 한 폭의 그림이 따로 없다.제7경인 석주대문은 자연이 만들어 낸 신비롭고 웅장한 바위 대문이다. 30t급 배가.. 2024. 4. 25.
후안무치(厚顔無恥) 오늘의 사자성어는 ‘후안무치(厚顔無恥)’이다. 『얼굴이 두꺼워서 부끄러움이 없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厚 두터울 후[두텁다, 두터이 하다, 두터이] 顔 얼굴 안[얼굴, 낯, 안면, 표정] 無 없을 무[없다, 허무의 도, 말라, 금지하는 말] 恥 부끄러워할 치[부끄러워 하다, 부끄럽게 여기다, 부끄럼] 한국일보의 김정현 기자가 『[영상 인터뷰]"가수 리아 아닌 정치인 김재원… '후안무치’ 尹정권 심판할 것"』이라는 기사에서 사자성어 ‘후안무치’를 사용했다. 후안무치가 나와 있는 내용을 잠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990년대부터 '가수 리아'로 활동한 김재원씨가 '국회의원 당선자' 신분으로 대중 앞에 다시 섰다. 그가 조국혁신당 비례대표 의원이 됐다는 소식에 여론의 반응은 차가웠다. 각종 진보적 사회 .. 2024. 4. 24.
일다불이(一多不二) 오늘의 사자성어는 ‘일다불이(一多不二)’이다. 『하나와 여럿이 둘이 아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一 한 일[하나, 한 번, 처음, 오로지] 多 많을 다[많다, 넓다, 도량이 넓다, 겹치다] 不 아닐 불[아니다, 말라, 새 이름] 二 두 이[둘, 두 번, 두 마음] 부산일보의 박종호 기자가 『세상 만물의 관계가 ‘일다불이(一多不二)’』라는 기사에서 사자성어 ‘일다불이’를 사용했다. 일다불이가 나와 있는 내용을 잠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이찬훈 교수는 하나와 여럿이 둘이 아니라는 ‘일다불이(一多不二)’, 유와 무가 둘이 아니라는 ‘유무불이(有無不二)’로 한 발 더 들어갔다. 서로 간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려면 그것들은 서로 다르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같지도 않아야 한다고 했다. 만약 전혀 다른 것들이라면 .. 2024. 4. 23.
동병상련(同病相憐) 오늘의 사자성어는 ‘동병상련(同病相憐)’이다.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볍게 여긴다. 즉,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잘 이해해 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同 한가지 동[한가지, 서로 같게 하다, 함께, 다같이] 病 병 병[병, 질병, 흠, 하자] 相 서로 상[서로, 보다, 자세히 보다, 바탕] 憐 불쌍히 여길 련[불쌍히 여기다, 가엾게 생각하다, 어여삐 여기다] 중앙일보의 어환희 기자가 『‘동조자’ 연출 박찬욱 “베트남 역사에 동병상련”』이라는 기사에서 사자성어 ‘동병상련’을 사용했다. 동병상련이 나와 있는 내용을 잠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근현대사의 공통점을 가진 나라의 국민으로서 동병상련의 마음도 있었다.” 지난 15일 국내에 처음 공개된 미국 HBO 오리지널 시리즈 ‘동조자.. 2024. 4. 19.
동반성장(同伴成長) 오늘의 사자성어는 ‘동반성장(同伴成長)’이다. 『경제 규모 차이가 있는 대상끼리 상생과 협력을 통해 더불어 성장하는 일. 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이른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同 한가지 동[한가지, 서로 같게 하다, 함께, 다같이] 伴 짝 반[짝, 따르다, 한가한 모양] 成 이룰 성[이루다, 이루어지다, 정하여지다] 長 길 장[길다, 길이, 오래도록, 늘이다] 파이낸셜뉴스의 박지영 기자가 『'동반성장 앞장' 롯데백화점 공정위 표창』이라는 기사에서 사자성어 ‘동반성장’을 사용했다. 동반성장이 나와 있는 내용을 잠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롯데백화점은 15일 '2024년 유통 상생 대회'에서 중소 파트너사와의 동반성장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아 공정거래위원장 표창을 수상했다. 롯데백화점은 금융부터 .. 2024. 4. 16.
지피지기(知彼知己) 오늘의 사자성어는 ‘지피지기(知彼知己)’이다. 『적의 사정과 나의 사정을 자세히 앎』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知 알 지[알다, 깨닫다, 느끼다, 분별하다] 彼 저 피[저, 저 사람, 삼인칭 대명사, 그] 知 알 지[알다, 깨닫다, 느끼다, 분별하다] 己 자기 기[자기, 여섯째 천간, 다스리다] 국민일보의 이누리 기자가 『포항 ‘박태하 매직’… “지피지기 무패행진”』이라는 기사에서 사자성어 ‘지피지기’를 사용했다. 지피지기가 나와 있는 내용을 잠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주로 선수들에게 공을 돌렸지만, 상대 분석에 기반을 둔 박 감독의 전술 역량도 빼놓을 수 없는 강점이다. 박 감독은 “상대가 뭘 하는지 눈에 보인다”며 “실전에서 100% 맞아 들진 않더라도 선수들에게 미리 전달해놓으면 잘 알아듣고 이행.. 2024. 4. 15.
토사구팽(兎死狗烹) 오늘의 사자성어는 ‘토사구팽(兎死狗烹)’이다.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 필요할 때 중요하게 쓰고 필요 없으면 매정하게 버리는 비정한 인간 세상을 꼬집은 말』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兎 토끼 토[토끼, 달의 이칭] 死 죽을 사[죽다, 죽음, 죽은 이] 狗 개 구[개, 강아지, 역에서 간에 해당한다] 烹 삶을 팽[삶다, 삶아 죽이다, 익힌 음식] 머니투데이의 강주헌 기자가 『알리·테무만 믿다가 '토사구팽'?』라는 기사에서 사자성어 ‘토사구팽’을 사용했다. 토사구팽이 나와 있는 내용을 잠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이 소식에 중국 이커머스 업체와의 밸류체인 시너지가 오래갈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론이 부각됐다. 한국 진출 초기 국내 택배업체를 이용하고 있지만 사업이 안정화되면 다른 선택지를 .. 2024. 4. 12.
새카만 머리의 금발소년 안드레아스 구루버 지음, 송경은 옮김의 『새카만 머리의 금발소년』은 출판사 북로드에서 2015년 11월 5일 출판한 장편소설이다. 안드레아스 그루버는 1996년 라는 잡지에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소설 집필을 시작했다. 시간제로 제약회사에 근무하며 글을 쓰다가 작품활동에 전념하려고 2014년 회사를 그만두었다. 제약회사 사장이 저자의 열렬한 팬이자 작품을 미리 읽고 평가해주는 테스트였다. 『새카만 머리의 금발소년』은 “정신병자가 피해자의 손가락을 잘라서 숨기로, 다른 사람한테 그걸 찾아내라고 하는 얘기를 한번 써보는 건 어때요?”라는 사장의 말에서 영감을 얻어 시작되었다고 한다. 『새카만 머리의 금발소년』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프롤로그 10 1부 22 2부 162 3부 252 에필로그 4.. 2024. 4. 11.
반응형